MENU

Member


FAQ Q&A
기독사전

지명 팔레스틴(Palestine)

페이지 정보
본문
뜻 : 이주자
현재의 이스라엘을 가르키는 말로 팔레스타인은 블레셋(Philistines)의 이름에서 왔다. 헬라 역사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헤로도투스가 B.C. 5세기에 처음으로 성지를 가리켜서 팔레스티네(Palestina) 라 했고 후대 로마인들은 팔레스티나(Palestina)라 불렀다.
예전에는 가나안이라 부르다가 이스라엘이라 부르고 바벨론에서 돌아 온후는 유대라 불렀고 기독교가 발생 후부터 성지라는 칭호가 생겼다.
팔레스틴이라 부르는 땅은 북은 단, 남은 브렐세바, 동은 요단강, 서는 지중해로 남북이 225km 넓이는 북방이 40km 남방이 144km 면적 15,540Km2로 우리나라의 경기도 보다 조금 크다.
인구는 가장 번성하였던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약 200만 내지 300만으로 추측된다.
1948년 독립 당시에 이스라엘인만 겨우 65만이었다.
귀환 동포 50만과 이 나라에 잔유하고 있던 아리비아인 70만을 합하여 185만이 된다.
이곳은 아시아 애굽 유럽 3대륙의 고대 문화의 접촉하는 교량이 되는 툭수한 위치에 있고 애굽과 메소포타미아를 연결하는 대통로에 가깝고 주민은 통과하는 대상과 상인에게 당시 세계 정세를 알기 쉽게 되었다 이 땅은 천연적으로 구분되어 있다(신1:7).
(1) 요단강 유역의 저지 평원 아라비아 사막
(2) 유대 중앙산맥 할 산지
(3) 산지와 연안 평원의 중간에 있는 구릉지 쉬히라 분지
(4) 남부에 있는 건조지 네게부
(5) 지중해 연안의 블레셋 평원 호후하얌(해변)
(6) 모압 고지와 미숄 평야(신3:10)등 이다.
이 지역내에서는 최고지가 1,219 m, 북 헤르몬산은 2,852m로 사시 백설에 덮혀있고 이 산에 발원하여 흐르는 요단강은 깊은 계곡을 이루고 사해는 지중해 수면보다 390m나 낮다.
이와 같은 지역의 환경으로 그 기후도 여러가지로 변동이 많고 동식물 분포도 한대에서 열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팔레스틴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 하여 사막에 사는 사람들은 대단히 부러워 하고 있다(출3:8,17, 13:5, 33:3, 레20:24, 민13:27, 14:8, 16:13, 14, 13 신26:9, 15 렘11:5, 32:22, 겔20:6, 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기독사전

Total 127건 2 페이지
기독사전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날짜
97 80369 03-31
96 78372 03-31
95 82611 03-31
94 78809 03-31
93 76987 03-31
92 114691 03-31
91 85971 04-29
90 91563 04-29
89 96891 04-29
88 87041 04-29
87 86413 04-29
86 87377 04-29
85 92285 04-29
84 87565 04-29
83 118432 04-29
82 87803 04-29
81 90118 04-29
80 88777 04-29
79 92337 04-29
78 88459 04-29
77 87550 04-29
76 86897 04-29
열람중 89556 04-29
74 88128 04-29
73 86314 04-29
72 79869 04-29
71 111704 04-29
70 79920 04-29
69 80314 04-29
68 88872 04-29